파이썬의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기
파이썬의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기
파이썬의 자료형에는 기본적으로 숫자형과 문자열 등 여러가지가 있다.
파이썬의 여러가지 자료형중에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자.
숫자 자료형(int, float)
파이썬의 숫자형 자료형에는 정수형, 실수형이 있다.
정수형(int)
a = 123
a = -178
a = 0
정수형(integer)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하며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 숫자 0을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시이다.
실수형(float)
a = 1.2
a = -3.45
실수형(floating-point)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하며 다음은 실수를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이다.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실수형의 소수점 표현 방식이다.
8진수와 16진수
8진수와 16진수도 존재하는데 이번에는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을 예정이다.
(잘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숫자 자료형이기 때문에 자세하게 다루지 않습니다.)
숫자형을 활용하는 연산자
숫자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산자들이 있다.
사칙 연산
a = 3 # a를 3으로 지정
b = 4 # b를 4로 지정
a + b # 3 + 4
#결과값 7
a - b # 3 -4
#결과값 -1
a * b # 3* 4
#결과값 12
a / b # 3/ 4
#결과값 0.75
프로그래밍을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는 독자라도 사칙 연산(+, -, *, /)은 알고 있을 것이다. 파이썬 역시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다음처럼 연산자를 사용해 사칙 연산을 수행한다.
제곱을 나타내는 ** 연산자
a = 3
b = 4
a ** b # 3의 4제곱 ( 3 * 3 * 3 * 3)
# 결과값 81
연산자에는 ** 이라는 연산자가 있는데 이 연산자는 x ** y 처럼 사용하면 x의 y제곱 값을 리턴해준다.
나눗셈 후 나머지를 리턴하는 % 연산자
% 연산자는 나눗셈의 나머지 값을 리턴하는 연산자이다.
7을 3으로 나눌때 나머지는 1(7/3 = 1), 3을 7로 나누면 나머지는 3( 3/7 = 3)이 된다.
7 % 3
#결과값 1
3 % 7
#결과값 3
나눗셈 후 몫을 리턴하는 // 연산자
/ 연산자는 나눗셈 후 몫을 리턴해주는 연산자이다.
7 / 4
#결과값 1.75
/ 연산자를 사용하여 7나누기 4를 하면 결과는 1.75가된다.
7 // 4
#결과값 1
그러나 //연산자를 사용하게되면 1.75 몫에 해당하는 1만 리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합 연산자
복합 연산자는 앞서 살펴본 +, - 와 같은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합쳐 놓은 것이다.
복합 연산자가 무엇인지 예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a = 1
먼저 a에 1이라는 숫자를 대입한다.
a = a + 1 # a + 1로 계산된 값을 다시 a에 대입.
print(a)
#결과값 2
이제 a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려면 위와 같이 할 수 있다.
a= a+1 식에 의해 a의 값이 1만큼 증가되고, a = a + 1 과 같은 표현식은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이 표현식은 다음과 같이 더 간략하게 표현한다.
a += 1
a += 1이라는 표현식은 a = a + 1을 줄여서 표현한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사용한 += 와 같은 연산자를 복합 연산자라 부른다.
a = 1
a -= 1 # a = a - 1 과 같음
print(a)
#결과값 0
만약 a의 값을 1만큼 감소 시키려면 다음과 같은 -= 복합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 -=, *=, /=, //=, %=, **=
복합연산자는 위와 같이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이렇게 복합 연산자를 사용하여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작성 할 수 있다.
댓글남기기